국가적 재난 상황 때 꾸려지는 중앙통제단을 소방청은 이태원 참사 당일에도 가동했다고 밝혔는데, YTN 취재 결과 근무자 명단이 실제와 다른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 <br /> <br />게다가 소방청이 밝힌 것과 달리 전국의 구급 차량을 현장에 동원하는 조치도 중앙통제단에서 내린 게 아니었습니다. <br /> <br />김다현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YTN이 입수한 소방청 중앙긴급구조통제단 운영계획서입니다. <br /> <br />국가적 재난이 발생했을 때, 소방의 '컨트롤 타워' 역할을 하는 중앙통제단이 이태원 참사 당시엔 어떤 체계로 가동됐는지 적혀 있습니다. <br /> <br />참사 당일인 지난 10월 29일 중앙통제단 근무자 명단에는 모두 12명이 이름을 올렸습니다. <br /> <br />이 명단은 모두 사실일까? <br /> <br />YTN이 12명 모두에게 인터뷰를 시도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 가운데 최소 3명은 자신은 참사 당시 중앙통제단 일원이 아니었다고 털어놨습니다. <br /> <br />참사 당시에 이태원이 아닌 아예 다른 현장에 있었다는 말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[소방청 관계자 : 봉화 매몰 사고 현장에 가서 지금 이태원 사고에 대해서는 제가 아는 바가 없어서.] <br /> <br />[소방청 관계자 : 저는 중통단 근무자는 아니었고 현장에 가서 제가 도울 일이 뭐가 있는지 확인하고.] <br /> <br />12명 가운데 실제로 중앙통제단으로 근무했다고 답한 건 3명뿐이고, 나머지는 연락이 닿지 않거나 답변을 거부했습니다. <br /> <br />중앙통제단이 제대로 운영된 게 맞는지 의심되는 대목은 이뿐만이 아닙니다. <br /> <br />참사 당일 밤 11시 50분, 소방청은 중앙통제단 명의로 전국 구급 차량 동원령을 내렸다고 공식적으로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취재 결과 소방청 종합상황실 조치였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종합상황실은 전국 소방본부의 출동 상황 관리를 하는 상설 조직으로 중앙통제단과는 엄연히 다릅니다. <br /> <br />이에 대해 소방청 관계자는 현재 수사 중인 사안이라 자세히 설명하긴 어렵지만 중앙통제단과 상황실이 협업했던 것으로 이해해 달라고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와 함께, 경찰청 특별수사본부는 남화영 소방청장 직무대리의 당일 조치도 실제와 다른 것으로 의심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소방청은 줄곧 소방청장 직무대리가 밤 11시 15분에 시작된 상황판단회의를 단 2분 만에 마치고 이태원 현장에 갔다고 했는데 이게 가능한 것이냐는 게 경찰의 주장입니다. <br /> <br />소방청의 허위 공문서 의혹이 한 꺼풀씩 벗겨지는 가운데, 특수본은 점점 소방 대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다현 (dasam0801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1212180544859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